Life & Reflections 65

[1.19]<디지털 시대, 뉴스 산업의 돌파구> - 강정수 디지털사회연구소장(오픈넷 이사)

. [1-1]웹과 모바일 시장의 분리. 모바일의 성장은 다른 미디어의 변화를 이끌 수 밖에 없다. 버즈 피드 콘텐츠의 소비를 봤을 때, 전통적인 콘텐츠 미디어 사이트 내 에서 소비되고 있지 않다. ð 방문수는 높을 수 있어도 소비수 ( 댓글, 공유 등) 훨씬 높다 플랫폼이. 선형성이 붕괴되고 있다. 언론을 소비하는 시청자들의 나이가 너무나도 늙어버렸다. 어린 독자들의 위기. Linearity 결정 ( 편성권 및 편집권 – 소비시간, 소비순서 결정) Binge Viewing 증가 – 원하는 시간에 몰아보는 것. => 소비자의 습관이 바뀌고 있다, Linearity는 돌아갈 수 없다. Ex) 넷플릭스 – 개인화 되어 나의 계정 가지고 전세계를 돌아다닐 수 있게 될 것이다. 콘텐츠와 번들링으로 함께 묶였던 광..

[1.19]넥스트 저널리즘 스쿨 첫 번째 수업 후기

블로터 김상범 대표님의 "기존의 저널리즘에 대한 고민과 참회를 바탕으로 새로운 세대의 언론인들에게 교육을 제공하고자 넥스트 저널리즘 스쿨을 만들게 되었다" 라는 말씀으로 시작하게 된 넥스트 저널리즘 스쿨! 이러한 고민을 같이 하고 함께 교육을 후원해주시기로 한 구글코리아의 정김경숙 구글코리아 상무님께서도 “언론이 바로서야 나라가 바로선다”라고 말씀하시며 언론의 중요한 역할에 대해 이야기 해주셨습니다. 담임선생님 역할을 해주실 블로터 이성규 랩장님께서는 우리에게 긴 질의응답시간과, 조별토론시간을 주셨는데, "수업만 듣고 끝난다면 학원에 불과하다. 따라서 생각하고, 의견을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씀하시며, 그런 의미에서 조를 짜기 위한 첫 번째 과정부터 생각하고 의견을 이야기하는 획기적인 방식을 제안해..

[12/5]Google HackFair

[출처] 2015 Google HackFair 참관 신청 안내! 구글 기념품까지 :-) (C언어를 배우자) |작성자 LaunchingDreaNOWPLAY Android나우플레이는 “O2O 광고 플랫폼” 입니다. 나우플레이는 모바일 게임 및 모바일 서비스를 위한 O2O 광고 플랫폼으로, 오프라인 광고 영역에 설치된 비콘을 통해, 기존 오프라인 광고에서는 알 수 없었던 사용자 엑티비티를 측정/분석하며, 광고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모바일 앱 내 장소별 사용자 맞춤 이벤트를 제공합니다.- 사용한 구글 기술 : Google Eddystone Spec, Google Nearby API, Google Proximity Beacon API, Google Maps API, Golang (API Server & And..

[12/4]구글 아태지역 코딩 교육 담당자와의 대화

Sally Ann WilliamsEngineering Community & Outreach Manager at Google 미래의 직업 변화 제조업들은 더이상 이전과 같은 역할을 하지 못한다. 기술의 빠른 변화로 인해 세상은 변화하고 있는데, 왜 필요한지 깨닫는 것이 중요하다. 기술의 발전은 직업의 변화에 많은 영향을 끼쳐왔습니다. 링크드인에 따르면 2008년에 있던 TOP 10 직업들은 2014년과 많이 다르다. Computer Science와 관련 되어있는 직업들의 성장이 크다. 소프트웨어개발자와는 별개로 CS는 많은 직업에 영향을 끼치고 있다. CS + x(여기서 x는 당신이 관심있는, 잘하는 아무거나) x의 예시들art 픽사의 프로젝트 매니저 Medical 콘택트렌즈를 낌으로써 당뇨의 정도를 측정..

[12.04.15]동아비즈니스포럼 - 한중CEO포럼

패널토론 1. E-Commerce & New Business -전자상거래는 이미 레드오션으로 진입했다? 정밀하고 세밀한 포지셔닝 필요성능대비 비교우위를 점하는 것이 필요2018년도 까지 중국직구 시장 400조 이상 반면 우리나라는 44조 정도. 설문조사를 통해 알아본 직구에 대한 욕구 정품(자국 내 상품이 환경파괴 등으로 신용을 잃었기 때문에 외국 기업들을 선호 신뢰, 신용의 문제) 2. 가격 3. 다양성 한국의 중소기업이 중국시장 진출을 위해 노려볼만한 상품? 우리나라에서 좋다고 중국에서 잘 팔리지는 않음. 한국과 중국의 정서차이 있음 하지만 잘 팔리는 상품 중 자신의 몸에 직접 적용되는 제품인 경우가 많음. 화장품패션, 영유아 상품ex)마유크림의 경우 한국에서는 초기에 인기를 끌지 못했지만, SNS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