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1]웹과 모바일 시장의 분리.
모바일의 성장은 다른 미디어의 변화를 이끌 수 밖에 없다.
버즈 피드 콘텐츠의 소비를 봤을 때, 전통적인 콘텐츠 미디어 사이트 내 에서 소비되고 있지 않다.
ð 방문수는 높을 수 있어도 소비수 ( 댓글, 공유 등) 훨씬 높다 플랫폼이.
선형성이 붕괴되고 있다.
언론을 소비하는 시청자들의 나이가 너무나도 늙어버렸다. 어린 독자들의 위기.
Linearity 결정 ( 편성권 및 편집권 – 소비시간, 소비순서 결정)
Binge Viewing 증가 – 원하는 시간에 몰아보는 것. => 소비자의 습관이 바뀌고 있다, Linearity는 돌아갈 수 없다.
Ex) 넷플릭스 – 개인화 되어 나의 계정 가지고 전세계를 돌아다닐 수 있게 될 것이다.
콘텐츠와 번들링으로 함께 묶였던 광고 시장이 붕괴되기 시작.
하지만 Cord cutting? – 스포츠때문에… 스포츠 중계권을 누가 가져가는가에 대해 방송의 판도가 바뀔 수 있다.
롱폼저널리즘 – 저녁에 소비가 많이 된다.
New Prime Time – 트레픽 분석 결과 ( 정오, 취침직전, 주말 )
Agenda Setting 능력 상실 – 뉴스벨류가 전달되지 않는다. 1면의 기사인지 40면의 기사인지 알수 가 없다. ( 연예 기사만 많이 접하게 되는 경우가 있는 것 같음)
디지털 전문기자 없음… 차별이 존재. “ Innovator Dilemma”
내자리를 뺏을 까봐 닫힌 조직 정치 때문에 혁신이 일어나지 못한다.
디지털 저널리즘이 기존의 언론사 내에서 자리를 잡을 수 있으려면 한 기사 당 제작하는 시간과 비용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이 있어야 계산을 할 수 있고 팀을 꾸릴 예산을 세우는 등 고용이되는 순환이 될수 있다.
1. Guardian / 뉴욕타임즈 – 내가 느낄 수 있어야 소비자들의 느낌을 알 수 있다.
중요 포인트 :
비선형적으로 기사가 소비 되지 않는다면, 어떻게 할 것인가?
네이버 뉴스도 사실 공감순서, 댓글 순서대로 선형적으로 되는것…
하지만 요즘 젊은이들은 Network based news consumption으로 거의 대부분 소비
to be continued...
'Life & Reflections > Events & Experienc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SBA 인사이트 스쿨] 데이터와 함께 새로운 서비스를 디자인하는 법 (0) | 2021.10.28 |
---|---|
[1.19]<포스트TV시대, 영상미디어 지각변동> - 조영신 SK경영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 (0) | 2016.01.20 |
[1.19]넥스트 저널리즘 스쿨 첫 번째 수업 후기 (0) | 2016.01.20 |
[12/5]Google HackFair (0) | 2015.12.05 |
[12/4]구글 아태지역 코딩 교육 담당자와의 대화 (0) | 2015.12.05 |